인위의 대지: 인류세 접속하기
Artificial Land+ing: Accessing the Anthropocene
우리의 산과 들은 46억년의 역사가 켜켜이 쌓인 지층을 통해 과거를 이야기해주고, 끊임없이 오늘을 담아 미래를 준비한다. 지구를 감싸고 있는 지층을 연구하는 지질학자들이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인류가 지구 환경의 새로운 동인이 되었음을 역설하며 제창한 ‘인류세1)’는 어느새 각계각층의 관심 속에 우리의 일상 속에서 어렵지 않게 회자되는 용어가 되었다. 더욱이 전 세계를 휘몰아친 기후위기 속에 인류세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기후위기의 주범, 우리 인간 스스로를 뒤 돌아 보며, 자연의 대지가 아닌 인위의 대지에서 인류세에 접속해보고자 한다.
우리는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여 이상함이 없고, 순리에 맞고 당연하고, 힘들이거나 애쓰지 아니하고 저절로 된 듯’ 할 때 ‘자연스럽다’라고 이야기 한다. 자연스러운 하늘, 자연스러운 산, 자연스러운 바다... 언제 마지막으로 ‘자연스러운’ 자연을 마주했는지 기억해보자. 어쩌면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은 인위적인 잿빛 하늘, 인위적인 벌목으로 변해버린 민둥산, 인위적인 플라스틱 쓰레기 섬으로 몸살을 앓는 바다가 더 익숙한지 모르겠다. ‘힘들이거나 애쓰지 아니해도 저절로’ 볼 수밖에 없는 인위적인 자연, 인위적인 대지 위에서 미래 자연 생태계를 상상해본다.
지구의 긴 역사 속에 약 100년의 짧은 시간 동안, 인류는 83억 톤의 플라스틱을 생산해서 63억 톤을 버렸다. 버려진 플라스틱 상당량은 바다로 흘러가 태평양에 한반도의 7배에 달하는 거대한 쓰레기 섬을 만들었다. 덕분에 혹자는 인류세를 플라스틱세라 칭하기도 한다. 이미 2020년 플라스틱, 콘크리트, 벽돌, 아스팔트, 금속 등 인공물은 동식물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 무게의 합과 같아졌다. 수백 년 후, 미래의 지구인 혹은 외계인은 인류세 지층 속에서 플라스틱을 발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450년 동안 썩지 않는다는 플라스틱은 분명 지구 대부분의 지층에 알록달록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낼 것이다.
최원서의 <퇴적: 플라스틱세> 시리즈는 미래의 지층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은유적으로 인위적인 협곡과 바위를 제시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미래의 지구 탐사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공상과학적 상상력으로 탄생한 <퇴적: 플라스틱세_기념비>는 미래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21세기 지층의 단면을 소환한다. 증강현실을 통해 김을지로 작가가 배양한 로제트 형상의 멸종위기 관목식물 <야레타>를 기념비에서 찾아보며, 과거, 현재, 미래 시간을 동시에 경험하게 된다.
인류세와의 접속은 인위의 대지와 함께 인위의 해양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해수면의 상승으로 내일의 우리는 어제보다 좁은 육지 위에서 인구 과잉을 절감하며 버텨내야할 것이다. 양지원은 심연의 바다 속 종단면을 수면위로 꺼내어 대륙과 해양의 생성과 소멸의 관계를 강인함과 유약함의 대비를 통해 제시한다. 시간과 공간, 실재와 가상, 물질과 비물질, 자연과 인공, X선과 Y선의 대비는 관람객이 거니는 전시 현장에서 접속자가 유영하는 웹으로 이어진다. 돋보기 인터랙션을 활용하여 오브니(OFNI)는 접속자로 하여금 멀리서 또는 극도로 가까이에서 인류세를 관조하게 한다.
<인위의 대지: 인류세 접속하기>는 실재 세계에서 물질 작업을 하는 최원서와 양지원, 가상의 세계에서 비물질 작업을 하는 김을지로와 오브니의 작품을 통해 인류세의 미래를 상상하며 현실 문제의 예술적 대안을 모색한다. 현재와 미래의 생태가 교차하는 ‘사색의 동산’에서 인류세에 접속하여 지구인으로서 우리의 역할에 대한 공론의 장을 제안한다. 인위의 대지에서 포스트휴먼이 되어 미래 생태를 조금 앞서 경험해 보자.
Our fields and forests reveal to us stories from the past that have accumulated one on top of another for 4.6 billion years. We are now adding the newest layer from which nature will tell its future story. The Anthropocene1) is a term proposed by geologists who study the strata of the Earth. It emphasizes that humanity has become a new agent in the Earth's environment. The term quickly became a popular topic on everyone’s lips in daily life in all areas of South Korean society. The concept is attracting more attention every day amidst the growing global climate crisis. Here, we are about to connect to the Anthropocene standing on a newly artificial earth, not on a natural land.
We often refer something as ‘natural’ when it seems to be unaffected, not forced, normal, unpretentious, not having grown strange but remaining the way as it was born without putting in any special efforts, or just as it should be. The sky, mountains, and seas are all considered natural, but let us try to recall the last time we faced ‘natural’ nature... Aren’t we more familiar with artificial nature, such as a hazy sky, mountains denuded by logging, and an ocean blighted with islands of plastic waste? This question leads me to imagine a future nature on an anthropogenic earth, in other words, an artificial nature, one that we have no choice but to witness.
Within the Earth’s long history, it took only a century for humans to produce over 8.3 billion tons of plastics and dump 6.3 billion of them on the Earth. A great deal of the plastic debris that ends up in the Pacific Ocean has formed a huge gyre of garbage that is seven times the size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se circumstances, one could even call the Anthropocene the Plasticene. In 2020, the sum of the weight of human-made materials such as concrete, brick, asphalt, metal, and others had already become equal to that of all living things on Earth, including plants. It is obvious that in hundreds of years, future Earthlings or extraterrestrials will be excavating plastics from the Anthropocene strata. These plastics that will remain undegraded even after 450 years will certainly be present across most part of the Anthropocene strata, splashing it with their vivid colors.
Choi Oneseo reclaims waste plastic for his Deposition: The Plasticene series that represents artificial canyons and rocks in a metaphoric way. The work provides viewers with an opportunity to play the role of a member of an expedition to the future Earth. On the other hand, Deposition: The Plasticene—A Monument represents a cross-section of the strata of the twenty-first century being displayed in a museum in the future. Kim Uljiro incubates an endangered Yareta shrub with its leaves arranged in rosettes and invites viewers to a simultaneous experienc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hile trying to find the plant on a stele in an AR setting.
The connection to the Anthropocene leads us to an anthropogenic land and an anthropogenic ocean. As sea levels continue to rise, we will be forced to endure overpopulation on a land area smaller than that of today. Yang Jiwon raises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eep sea onto the surface of the water. She ren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continents and oceans by highlighting the contrast between strength and vulnerability. The contrasts between time and space, real and virtual, material and non-material, nature and human-made, or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that are experienced by viewers in the exhibition space, are expanded onto the web space. OFNI, a collective consisting of two designers, suggests using a magnifier for an interactive experience at it guides those who accessed the website for this exhibition to observe the Anthropocene from a distance or at extreme magnification.
In Artificial Land+ing: Accessing the Anthropocene, Choi Oneseo and Yang Jiwon, who manipulate materials to create their work in the real world, and Kim Uljiro and OFNI, who develop non-material forms that can be experienced in a virtual world, seek alternatives to actual problems through their individual artistic practices as they imagine the future of the Anthropocene. In this ‘garden of contemplation’ where present and future ecosystems intermingle, the artists create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of our responsibilities as members of the Earth’s community. Connecting to the Anthropocene, you may become a post-human living on an artificial earth and experience in advance the future ecological environment.
1)
새로운 지질시대를 가리키는 인류세 개념은 대기 화학자 크뤼천(Paul Crutzen)과 생태학자 스토머(Eugene Stoermer)가 2000년 처음 거론했다. 이들은 “지구와 대기에 영향을 주는 인간의 활동들을 지구적인 규모에서 고려해볼 때, ‘인류세’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지질학과 환경학에서 인류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함이 더욱 적절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최명애·박범순, 「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새로운 질문들」, 『ECO』 제23권 2호(2019): 7, 11~12.
The concept of the Anthropocene suggested by Earth system scientists and geologists in the early 2000s has spread through different fields of study, including political science, policy studies, anthropology, geography, and more. The official use of the term to refer to the current geological epoch was proposed by atmospheric chemist Paul J. Crutzen and biologist Eugene Stoermer in 2000. They argued that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global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the planet and the atmosphere have become clearly noticeable, it would be appropriate to focus on the role of humans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research by using the term. Crutzen’s essay “Geology of Mankind” published in Nature in 2002 added fuel to debate on the Anthropocene. Choi Myeong-ae, Park Buhm Soon, “Anthropocene Studies and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 Korean], ECO 23, 2 (2019): 7,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