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서는 산업디자인과 공예에 기반하여 가구를 주요 매체로 작업해왔다. 일방향의 매뉴얼화 된 제품으로서 가구를 너머서 사유에 의해 용도와 가치가 변화하는 주관적 가구를 탐구해왔다. 주로 소재가 가지지 못했던 이야기를 상상하고 새로운 내러티브를 생성하며, 이를 가구의 조형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일부의 용도를 상실시키거나 인간 중심에서 벗어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며 실용의 범위를 재설정한다. 최근에는 작가가 소재에서 발견한 내러티브 자체를 추출하고 그것을 재가공하여 가구의 조형에서 벗어난 평면, 입체 조형 등의 형태로 표현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Choi Oneseo creates furniture based on the methodologies of industrial design and craft. He explores furniture where the functions and value can be defined subjectively and vary with the user rather than products with their usage preordained by the maker. He continues to develop new narratives for his furniture in plastic language by means of imagining stories that have never before been discovered before in the materials. During the making process, he eliminates some of the functions of an object he creates by observing it outside of human-centered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range of the functions of each object is reestablished. In recent work, he has been attempting to expand his artistic expression by examining unconventional forms of furniture ranging from a plane to three dimensional structures by focusing on excavating narratives from materials and reprocessing them.
김을지로는 미디어 아티스트이며 시각디자인과 조소를 같이 공부했다. 공상과학이 매일같이 현실에 전복되는 세대의 당사자. 생물을 조직하는 기관의 단위나 계층을 주관적인 논리로 재구성하여 가상현실에 배양시키는 보다 논리적인 방법에 대해 탐색하는 중이다.
디지털 3D영상이 신체 장기와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과학적 검증 매개로서 작동하는 매체임에 집중하여, 데이터와 생물 사이의 해부생리학적 유사성을 탐구한다. 현실과 가상의 물질-비물질이 각기 다른 환경-인터페이스에서 작동하고 생장하는 방식에 관심이 많고, 이 과정에서 실존하는 듯 닿을 수 없는 영역의 풍경 들을 수집하고 있다.
Kim Uljiro studied visual design and sculpture and is currently working as a media artist. Living in an era in which science fiction seems to be subverting reality on a daily basis, Kim subjectively reconstructs the units that comprise a living organism and explores logical ways to cultivate them in virtual reality. Using digital 3D video, he explores the similarity between data and organisms from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He takes an interest in the ways that the materials/non-materials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operate and grow in different environments/interfaces and collects the landscapes that seem to exist yet remain unreachable that are produced during this process.
OFNI는 성예슬과 임민영이 운영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브랜딩, 출판/인쇄물, 웹, 디지털 이미지 작업을 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든다.
OFNI is a design studio run by Sung Yeseul and Lim Minyoung that focuses on printed materials and digital imaging techniques.
양지원은 작업을 통해 우리 그리고 사회에게 이야기를 전하는 전달자이다. 산업디자인 • 공예학과를 기반으로 공부했고, 오브제, 가구, 조형, 공간을 만듭니다. 잠들어 있던 감각을 깨우거나, 내재된 가치들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거나, 숨이 죽은 것들을 되살리는 이야기들을 시각, 촉각, 문학적인 작업으로 표현하고 효유한다. 최근에는 시대, 호흡, 생명과 같은 단어들을 주제 삼아 작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Yang Jiwon is a messenger who relates stories to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her work. She studied industrial design and craft at university and creates objects, furniture, and spaces. Yang’s interests lie in awakening sensations, bringing buried values to the surface, and reanimating that which is withering. She tries to express and share stories of shedding light on unregarded beings in diverse ways including through visual and tactile forms and in literature. She has recently developed works examining specific words, including ‘era,’ ‘breath,’ ‘life,’ and more.